본문 바로가기
핸드폰 이야기

약정 위약금을 내지 않고 기기 변경 가능 하다?

by 오바로크 2022. 2. 8.
반응형

최근에 자급제폰을 구매해서 사용하는 분들이 늘어남에 따라 현재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에 약정이 걸려있는 경우 위약금 때문에 기기 구매에 망설이는 분들을 위해 포스팅을 해봅니다. 자급제폰을 구매해서 사용하면 위약금 부분은 문제없지만 이런 과정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통신사 통한 구매 시 위약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 기간과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약정이 남은 상태에서 기기변경 위약금 면제 방법

우선 결과를 말하자면 조건부 가능하다.입니다. 약정 기간은 보통 24개월로 설정되고 위약금을 면제받고 기기변경을 하려면 몇 가지 조건이 충족이 되어야 하는데 먼저 가입기간이 일정기간 지나야 합니다. 이는 첫 개통 시 약정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선택 약정으로 개통했을 경우는 약정 기간 내에 어느 시점이라도 통신사 유지하면서 기기변경은 위약금 면제가 1회까지 가능합니다. 만약 첫 개통 시 공시 지원금을 받고 개통했을 경우 개통 후 18개월 안으로 기기변경을 하게 되면 공시 지원금에 대한 위약금이 발생합니다. 선택 약정의 경우 1회까지 면제 가능하다 했는데 2회 때는 면제 조건이 발생합니다. 선택 약정 1차 약정 기간 중 기기변경 시 1차는 면제가 되고 2차가 시작되지만 만약 1차 기간과 2차 기간이 겹쳐 있을 때 기기 분실이나 파손으로 인해 기기변경을 해야 하게 되는 경우 1차와 2차 약정 중 1개의 약정 위약금은 발생합니다. 이때 3차로 들어가는 약정을 공시 지원금 약정을 선택하면서 기기 변경하게 되면 1차 2차 위약금 중 1개의 위약금은 무조건 발생을 합니다. 하지만 3차 약정 시 선택 약정으로 개통을 진행하게 되면 면제 가능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휴대폰을 구매하는 대리점이나 판매점에서 일하는 직원이 관련 내용을 잘 모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확인을 두 번 세 번 하셔야 합니다. 해당 내용을 알려면 통신사 정책을 이해하여야 하는데 통신사 정책 같은 경우 말단 직원까지 전파가 잘 안 되는 경우가 있어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1차, 2차 선택 약정 중 3차 선택 약정 개통을 할 때 위약금 면제가 가능 하니 만약 이 경우에 해당한다면 매장에서 상담 시 관련 내용 말씀하시면 점장 급이나 관리급이 알아봐 줄 겁니다. 1차, 2차 선택 약정 중 3차 공시 지원금 개통의 경우는 1차, 2차 중 하나를 위약금 납부 후 소멸시켜야 합니다. 그러므로 3차 때 약정 선택을 본인의 상황에 맞게 하셔야 합니다.

 

위약금이 면제가 되는 것인데 1차, 2차는 뭐예요?

위에 언급한 위약금 면제는 완전한 면제로 위약금이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위약금이 발생하지 않게 가장 빠른 약정을 유예시켜 주는 형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는 해당 약정기간 동안 보이지는 않지만 약정이 계속 살아 있습니다. 그래서 3차 약정 때 1차, 2차 약정 중 하나가 소멸되어야 3차 약정이 2차로 들어가게 되면서 약정 자체가 해지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입니다. 이 같이 약정기간 중 기기변경의 경우 위약금 문제가 복잡하게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약정 기간 중 기기변경을 할 경우가 발생하면 위약금 문제 때문에 이것저것 알아보다 자급제폰 구매까지 이르게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급제폰 사용은 현재 약정과 위약금, 가족 결합, 요금제등 현재 정보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급제폰의 인기가 높아진다 볼 수 있습니다. 작성자 역시 LTE 요금제와 가족 결합 할인, 선택 약정 할인 등록하고 자급제 5G 폰을 사용 중이라 선택은 본인이 하는 것이지만 조금만 알아보면 어떤 선택이 본인에게 유리할지 확인 가능 하니 가능성을 열어두고 확인하셔서 선택하시길 바라겠습니다.